양정현 사진
양정현
직위(직급)
학과장, 교수
전화번호
510-2654
이메일
yjh6181@pusan.ac.kr
연구분야
역사교육

[학위논문]

* 석사논문: 「高等學校 『국사』敎科書의 '發展'觀과 民亂 敍述」, 서울대학교, 1992. 2.

* 박사논문: 「近代改革期 歷史敎育의 展開와 歷史敎材의 構成」, 서울대학교, 2001. 8.

 

[학술논문]

「사회과통합 논의와 역사교육」, 『역사교육』61.(1997. 3, 학술대회발표문)

「사회과통합 논의와 역사중심 '공통사회' 구성방안」, 『歷史敎育의 理論과 方法』(1997. 8, 삼지원)

「日帝强占期 歷史敎育 理念과 政策-1920∼30년대 중반 普通學校를 중심으로-」, 『國史館論叢』77(국사편찬위원회). 1997. 11.

「大韓帝國期 '傳'類 歷史書와 그 歷史觀」, 『歷史敎育』72. 1999. 12.

「韓末·日帝下의 歷史學과 歷史敎育論:金澤榮·玄采·申采浩」,(윤세철교수정년기념논총). 2001. 10.

「歷史敎育에서 평가논의의 난맥상과 개선방안」, 『歷史敎育』80. 2001. 12.

「포스트모던 역사이론의 '민족' 논의와 역사교육」, 『歷史敎育』83. 2002. 9.

「중등 세계사 전근대 부분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안」, 『역사와 경계』48,(부산경남사학회, 2003)

「역사교육에서 민족주의를 둘러싼 최근 논의-당위`과잉`폐기의 스펙트럼-」, 『역사교육』95,(역사교육연구회, 2005)

「중등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론과 현장의 간극-」『사회과교육』44-3,(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교과서 구성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제도의 규정성-7차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역사교육연구』2,(한국역사교육학회, 2005)

「韓國における民族主義論議と歷史敎育」, 『歷史地理敎育』696,(歷史敎育者協議會, 2006)

「중등 역사 교사의 역사 교과 지식 생산과 소통」,『역사와 경계』59, (부산경남사획회, 2006)

「한말 경남 지역 근대 초등교육의 보급과 확산」『역사와 경계』67,(부산경남사학회, 2008)

「국사교과서 고대사 서술에서 민족`국가 인식의 변천」『한국고대사연구』52, (한국고대사학회, 2008)

「역사 교과서 서술에서 사실과 관점」, 『역사와세계』35 (효원사학회, 2009)

「교육과정리더쉽'론과 2009개정 역사과교육과정」『역사와세계』36 (효원사학회, 2009)

「2007 역사과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 교사교육연구』49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 검정의 양상」『역사교육연구』12(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기억·망각·이미지 - TV 사극(史劇)을통한  중등학생의역사정보기억과 이미지형성-」, 『역사교육연구』13 (한국역사교육학회, 2011)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논리와 계열성」, 『역사교육』120, (역사교육연구회,2011) 

「역사교육에서 역사지리적, 간문화적 접근」,『 교사교육연구』2,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2013)

「청일전쟁에 대한 한일의 기억과 전승 : 증폭과 망각의 양극」,『역사와세계』46, (효원사학회,2014)

「역사 교수-학습에서 ‘주체’의 문제 고등학교 ‘한국사’ 민주화, 산업화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역사와 세계』, (효원사학회, 2014)

「특집 논문 : 한국사 교과서 발행 제도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역사와 현실』92, (한국역사연구회,2014)

「삶에 대한 역사의 공과 니체의 역사인식 지평과역사교육적 함의」,『역사교육연구』20, (한국역사교육학회,2014)

「중등 역사과에서한국사와 외국사의연계 논리와 형식」,『역사교육연구』23,  (한국역사교육학회,2015)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역사비평』113, (역사문제연구소,2015)

「역사교사의 교수학습 설계에서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참여의식: 4.19를 통해서 본 민주주의 담론과 참여의식」,『 교사교육연구』4,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2016)

「학교 역사 텍스트 제작 과정과 그 특성 - 집필자 시각에서 본 중등학교 역사 텍스트 제작 메커니즘」,『역사와세계』50, (효원사학회,2016)

「국정화 폐지 이후 역사교육의 전망과 방향 모색」,『역사교육연구』, (한국역사교육학회,2017)

 

[가볍게 쓴 글]

1997, "바로 이 자리에서 역사를 만난다", 『우리교육』1997년 6월호.

1998, "역사를 역사답게 가르치고 싶었다", 『우리교육』1998년 5월호.

2001, "민족주의는 세계화의 걸림돌인가-7차교육과정과 역사교육", 『내일을여는역사』5.

2001, "7차교육과정과 역사교육의 진로", 『교육마당』21, (2001. 8)

2002, "7차교육과정과 사회과 통합, 그 불편한 동거", 『교육비평』7.

 

[전국역사교사모임 회보에 쓴 글]

제2호(1988. 9.), 「제5차 국사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 검토 - <제5차 중학교 국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편 준거안>을 중심으로- 」

제3호(1988.11), 「국사학습을 위한 한국 고대 역사의 재구성(상) -중학교 수준으로-」

제10호(1990.11), 「새『국사』교과서와 역사교육 - 역사교육연구회 추계학술발표회에서의 역사교육논의 정리- 」

제14호(1992.4), 「6차 교육과정개정과 역사교과의 위상」

제19호(1993.3), 「 대학 수학능력시험 탐구영역과 역사교과」

제37호(1997.6), 「사회과 통합 논의와 역사교육」

제37호(1997.6), 「중학교 조선후기 수업사례」

제44호(1999.3), 「역사교육에서의 평가」

제45호(1999.6), 「목표설정에서 평가까지-현대사 수업사례」

제52호(2001. 3), 「제7차 교육과정과 역사과의 진로」

 

[역사 교재]

2000. 제7차교육과정 『중학교사회』(고려출판사),  공저

2001. 제7차교육과정 『중학교국사』(교육부),  공저

2002.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휴머니스트), 공저

2002. 『우리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휴머니스트), 공저

 

[대중역사서]

1992. 『미술로 보는 우리 역사』(푸른나무), 공저

1992. 『중국사100장면』(가람기획), 공저

 

[담당 강의 과목]

역사교육론, 한국사교육연구, 한국사교재연구 맟 지도법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