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충 사진
백승충
직위(직급)
명예교수
전화번호
이메일
schbaek@pusan.ac.kr
연구분야
한국고대사, 가야사

[논문]
<1∼3세기 가야세력의 성격과 그 추이 -수로집단의 성격과 浦上八國의 亂을 중심으로->《釜大史學》 13 1989.
<3∼4세기 한반도 남부지방의 제세력 동향 -초기가야세력권의 변화를 중심으로->《釜山史學》 18 1990.

<'加耶'의 用例 및 時期別 분포상황>《釜山史學》 22 1992.

<于勒十二曲의 해석문제>《韓國古代史論叢》3 韓國古代社會硏究會 1992.

<[任那復興會議]의 전개와 그 성격>《釜大史學》 17 1993.

<加羅國과 于勒十二曲> 《釜大史學》19 1995.

<변한의 성립과 발전-弁辰狗邪國의 성격과 관련하여->《韓國古代史硏究》9 韓國古代史硏究會 1995.

<加耶의 地域聯盟史 硏究>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1995.

<加羅·新羅 결혼동맹의 결렬과 그 추이>《釜大史學》20 1996.

<安羅의 移那斯·麻都에 대한 검토>《지역과 역사》2 부산경남역사연구소 1996.

<安羅·加羅의 멸망과정에 대한 검토>《지역과 역사》4 부산경남역사연구소 1997.

<문헌에서 본 加耶와 古代日本>《加耶와 古代日本》金海市 1997.

<문헌에서 본 가야, 삼국과 왜>《한국민족문화》 12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998.

<문헌에서 본 가야와 고대일본>《가야사논집》 1 김해시 1998.

<가야의 개국설화에 대한 검토>《역사와 현실》  33, 한국역사연구회, 1999

<6세기 전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백제연구》 31,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가야의 정치구조-`부체제` 논의와 관련하여->《한국고대사연구》 17, 한국고대사학회, 2000

<「廣開土王陵碑文」からみた加耶と倭,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 110>《國立歷史民俗博物館(日本)》, 2004

<加耶의 地域聯盟論>《지역과 역사》 17,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05

<‘下部思利利’ 명문과 가야의 部>《역사와 경계》 58, 부산경남사학회, 2006

<가야의 '고대국가론' 비판>《부대사학》 30, 부산대학교 사학회, 2006

<于勒의 망명과 신라 大樂의 성립>《한국민족문화》 29,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가야문화권의 성립과 그 의미>《영남학》 13,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임나일본부’의 용례와 범주>《지역과 역사》 24,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09

<‘任那日本府’의 파견 주체 재론―百濟 및 諸倭 파견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한국민족문화》 37,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安羅.新羅의 ‘接境’과 ‘耕種’ 문제-‘任那日本府’ 출현 배경의 한 측면>《지역과 역사》 27,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10

<문헌을 통해 본 고대 창녕의 정치적 동향>, 《고대 창녕지역사의 재조명》1,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계체,흠명기 ‘임나(국) 4현 할양’ 기사의 성격>,  《지역과 역사》31,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12

<임나 4현’의 위치 비정>, 《역사와경계》, 부산경남사학회, 2012

<안라국과 ‘임나일본부’, 그리고 백제>, 《지역과 역사》35,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14

<안라국의 대외관계사 연구의 제문제>, 《한국민족문화》51,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일본서기』 계체흠명기의 백제 ‘木氏’ 기사 검토>, 《지역과 역사》37,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15

<『일본서기』 木氏·紀氏 기사의 기초적 검토-신공~현종기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5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일본서기』 민달~추고기의 ‘紀氏’와 ‘임나’>, 《지역과 역사》38, 부산경남역사연구소, 2016

<‘加耶叛’ 기사의 재검토>, 《한국민족문화》61,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공저]
《시민을 위한 가야사》 집문당 1996.
《한국과 일본, 왜곡과 콤플렉스의 역사》①② 자작나무 1998.

《한국지명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대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유림출판사 2012.

《기장향토사 교과서》대훈기획 2012.

 

[담당 강의 과목]

한국고대사 , 한국문화사, 한국대외관계사연구, 한국사고전강독 외.